국내에서 스마트 제조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스마트 공장이 전면에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 공장은 대부분 대량생산 제품의 보다 더 효율적인 제조, 즉 품질 향상, 원가 절감, 리드타임 단축 등이 주요 목표이다.

반면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범주 내에서 논의되는 스마트 팩토리는 제조 효율성 제고는 기본이고, 시장의 경쟁 규칙을 독일에 유리하게 만드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즉, 중국에 유리한 자동화 기반의 대량생산 제품 제조에서 탈피하여 인공지능, Internet of Things(IoT, 사물인터넷), Cyber Physical system(CPS, 사이버물리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제품을 대량생산 효율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공장이라는 물리적 세계를 디지털 및 인터넷 기술 기반의 사이버 세계로 정의하고 융합하는 CPS가 독일이 지향하는 스마트 팩토리의 핵심 기술로 강조되고 있다.

독일은 CPS 기반 스마트 팩토리 구축으로 품질, 원가, 리드타임 중심의 제조 효율성을 넘어 시장의 개인화 및 맞춤화 추세에 대응하는 개인 맞춤형 제품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 창출 및 매출 증대를 추구하고 있다. 아울러, CPS 기반 스마트 팩토리 자체도 상품화하여, 세계 제조장비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양면전략(Dual Strategy)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에서 논의되는 CPS 기반 스마트 팩토리는 시장의 개인화 및 맞춤화 추세에 대응하는 개인 맞춤형 제품의 대량생산 효율 제조를 목표로 지능형(Smart), 연결된(Connected), 분권화된(Decentralized), 자율화(Autonomous) 시스템이라는 네 가지 특성을 중심으로 중장기적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Kagermann/Riemensperger, 2018).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은 이러한 발전을 단위 기업 차원에서 추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공급사슬, 즉 가치창출 네트워크 전체를 연계하는 통합 추진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극대화하려는 계획이다.

(ZDNet Korea 10월 24일 내용 일부)

소견)독일은 CPS 기반 스마트 팩토리 구축으로 품질, 원가, 리드타임 중심의 제조 효율성을 넘어 시장의 개인화 및 맞춤화 추세에 대응하는 개인 맞춤형 제품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 창출 및 매출 증대를 추구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됩니다.

 

by 이남은 2019. 10. 27. 00:45

*삼성·LG 빨리 변하지 않으면 실리콘밸리 하청업체 된다



스마트폰 시장에선 한국 기업들이 선전하고 있다. 비즈니스 모델 혁신을 잘                              
했다고 보나.                                                                                                                                                                                                                                                   
응답 :“그렇게 보지 않는다. 삼성과 LG의 스마트폰은 훌륭하다. 하지만 삼성의                                                                                                                                                                     
  스마트폰이 많이 팔릴수   록 더 돈을 버는 건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를 제공하는)                                                                                                                                                     
 구글이다. 삼성은 첨단 기기를 출시하는 데 성공했지만 근본적으로 사업 방식을                                                                                                                                                         
 바꾼 건 아니다. 현대와 기아차도 마찬가지다. 모두 자동  차를 잘 만든다.                               
                                                                                                                                  
하지만 그동안 해 온 방식을 잘 답습할 뿐이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장의                             
                                                                                                                                  
패  권을 쥐는 건 다른 문제다.”                                                                                         
                                                                                                                                  
(중앙일보 5월 27일 내용일부)
 
소견) 한국과 일본 기업은 문화적으로 파괴적인 혁신에 유리하지 않으며 더 

개방적인 태도로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하는데 여하튼 근본적 사업방식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by 이남은 2016. 6. 8.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