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국내로 들어온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전년보다 17.2% 증가한 269억달러를 기록하자 “국내외 여건이 어려운 속에서 이룬 쾌거”라고 홍보했다. 작년 세계 FDI가 16.9% 감소한 가운데 낸 성과다. 하지만 불안 요소도 있었다. 지난해 상반기엔 투자가 크게 늘었지만 3분기(-13.6%)와 4분기(-17.9%) 두 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글로벌 경기 둔화로 FDI 감소 흐름이 계속될 것이란 우려가 나왔다.

우려는 현실이 됐다. 11일 산업부에 따르면 올 1분기 FDI(신고 기준)는 1년 전보다 35.7% 줄어든 31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1분기 기준으로 2012년(23억5000만달러) 후 최저치다. 유럽연합(-43.7%), 미국(-78.7%), 중국(-88.0%), 일본(-31.0%) 등 한국에 투자를 많이 하는 국가들의 FDI가 모조리 줄었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경제 상황이 특히 안 좋고 일본, 중국도 경기가 둔화되고 있다”며 “위기감이 크다 보니 해외에 투자할 여력이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도 “작년 말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조세 감면 제도 종료의 영향도 있지만 FDI가 감소한 가장 큰 이유는 세계 경기 둔화”라고 말했다.
작년 외국인 투자기업은 국내 기업 전체 매출의 12.0%, 고용의 5.7%를 차지했다. 외국인 투자기업의 활동이 위축되면 그렇지 않아도 불안한 국내 경제가 더 악화될 수밖에 없다.

수출 역시 세계 경기 침체 영향으로 급격히 얼어붙고 있다. 지난해 12월(-1.7%) 감소세로 돌아선 수출은 올 1월(-6.2%), 2월(-11.4%), 3월(-8.2%) 등 4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수출의 20%를 책임지는 반도체가 올 들어 매달 10~20%씩 줄고 있다. 이번 달도 불안하다. 관세청에 따르면 4월 1~10일 하루 평균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9% 감소했다.

(한국경제 4월 11일 내용 일부)

소견)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로제 시행 등으로 기업 경영에 부담을 주는 요소가 늘다 보니 한국이 투자처로서의 매력을 잃고 있어 걱정이 아닐수없습니다.

by 이남은 2019. 4. 17. 00:38

*공장 10곳 중 1~2곳만 야근…저녁 8시면 산단 전체가 '암흑세계'


공장의 낮아진 가동률을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소가 있다. 식당이다. 잔업하는 기업의 근로자들은 단지 내 ‘현장식당(함바식당)’에서 저녁을 먹기 때문이다. 시화산업단지에서 20년째 식당을 운영하는 김모 사장은 “3~4년 전만 해도 평일 저녁 손님이 50명 이상 찾아왔지만 지금은 20~30명 수준으로 줄었다”며 “그나마 고정 고객은 비교적 건실한 업체 한 곳에서 오는 손님이고 나머지 공장에선 발길이 거의 끊긴 상태”라고 말했다. 그 전엔 토요일에도 문을 열었지만 지금은 주말영업을 완전히 접었다고 덧붙였다. 경기가 좋을 땐 한 집 건너 한 집이 잔업할 정도로 호황을 누리던 곳이 시화산업단지다. 하지만 지금은 야근을 하는 공장이 10곳 중 한두 곳에 불과하다.

인천 남동국가산업단지에서 만난 한 중소기업인이 보는 미래는 더 어두웠다. 20년째 사업하는 그는 “하반기 들어 일감이 크게 줄면서 주간에도 쉬는 직원이 많아졌다. 그래서 할 수 없이 인력 구조조정을 고민 중”이라고 했다. 그는 저녁 8시께 마지막으로 공장의 불을 끄고 퇴근할 때는 주변이 너무 어두워져 “공단 전체가 암흑세계가 된 듯하다”고 말했다.

경기침체, 조선 자동차산업의 어려움 외에 주 52시간 근로제와 최저임금 인상도 공단의 불을 일찍 끄게 하고 있다. 불안을 느끼는 것은 기업인뿐만 아니다. 근로자도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 식품가공 회사에 근무하는 한 40대 직원은 “상반기까지만 해도 1~2시간 잔업하고 오후 8시께 버스를 타면 앉아서 가기 힘들 정도로 사람이 많았지만 요즘은 같은 시간에 같은 버스를 타도 자리가 텅 비어 있다”고 했다. 그는 주 52시간 근로제에 따라 잔업하지 않는 회사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생산직 직원은 잔업이 줄면 월급도 함께 감소한다”며 “하반기부터 가계비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 기업인은 “52시간제 이후 월급명세서를 받은 40대 직원이 찾아와 울면서 일을 더 하게 해달라고 말하는 일도 있었다”고 전했다. 52시간제에 맞춰 인원을 충원한 기업도 있지만 대부분 기업은 일감 부족과 52시간제로 늘어난 인건비 부담을 피하기 위해 일찍 불을 끌 수밖에 없다고 이 기업인은 덧붙였다.

(한국경제 10월 17일 내용 일부)

소견)경기 시흥시 한국산업기술대에서 저녁 바라본 시화·반월산업단지. 야근을 위해 불을 켠 공장이 드물다.불 꺼진 공단의 어두움이 한국 제조업, 한국 경제의 어두운 미래와 맞닿아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 걱정이 아닐수 없다.


by 이남은 2018. 10. 25.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