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제품을 살짝 바꿔보라…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보다 훌륭


혁신은 외부에서 오고, 파괴적(disruptive)일 경우 가치가 더 크다는 주장이

 있다. 그래서 일부 전문가들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는

 "틀 밖에서 생각하라"고 조언한다. 하지만 틀 밖의 혁신은 성장을 위한 

좋은 수단이 되기 어렵다. 틀 밖의 아이디어가 예술 작품으로 만들어지거나

 책으로 쓰인다면, 앞서 말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아이디어를 

제품이나 서비스로 발전시킬 경우에는 생각을 다르게 해야 한다. 

'한비자(韓非子)'에는 "멀리 있는 물은 가까운 불을 끌 수 없다

(遠水不求近火)"라는 문구가 나온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도 실제로 

구현할 수 없다면 그 아이디어는 그림의 떡일 뿐이다.

틀 안의 혁신이 필요한 이유는 더 있다. 아이디어는 자유롭게 낼 때보다

 조건을 주고 환경을 제한했을 때 더 좋은 것이 나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창의성과 관련된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에 조건을 달 경우, 그렇지 않았을 때보다 더 좋은 아이디어가 

나왔다. '주역(周易)'에 "궁하면 통한다"는 말이 나온다. 어려운 상황에서

 더 좋은 해결책이 나온 것을 빗댄 말이다. 실제로 혁신의 범위를 틀 

안으로 제한하면 집중력이 높아져 오히려 좋은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고 한다.

(조선비즈 4월4일 내용 일부)

소견)혁신의 바탕이 되는 아이디어 창출을 개인의 창의성에만 의존하지 

말고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은 훈련을 통해 충분히 학습이 될 수 있다고

하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y 이남은 2016. 4. 12.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