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혁신운동이 중소기업의 미래다


선진국의 제조업 진흥도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수단인 AI(인공지능), 로봇, IoT(사물인터넷) 등을 이용한 초연결과 융합을 기반으로 이뤄진다. 미국의 첨단제조 파트너십, 독일의 산업혁신 4.0, 일본의 새로운 사회 5.0, 중국의 중국제조 2025, 대만의 생산력 4.0 프로젝트 등 각국이 국가미래성장의 핵심 사업으로 제조업 육성정책을 앞다퉈 추진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첨단 제조업 육성이 비단 대기업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반이 되는 중소 협력업체의 스마트화가 같이 이뤄지지 않으면 산업혁신의 성공은 기대하기 어렵다. 

대한상공회의소와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 주관하는 산업혁신운동은 열악한 제조 환경과 혁신의 기반 부족으로 생산성 혁신을 통한 기업 성장에 어려움을 겪어온 2·3차 협력사가 스스로 혁신 과제를 도출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다. 협력업체는 대기업의 상생협력 지원으로 2013년 시작된 산업혁신운동을 통해 생산성 혁신과 스마트 공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 혁신운동은 대기업과 1차 협력사의 컨설턴트·기술 전문가 등이 함께 2, 3차 협력업체의 다각적인 혁신과제 이행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2013년 8월부터 5년 동안 97개 대기업과 중견기업, 공기업이 중소기업 1만여개사의 공정·경영 컨설팅을 통해 생산방식을 개선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설비를 구입하는 등 생산혁신 활동을 지원했다. 

또 산업혁신운동의 일환으로 IT, 소프트웨어, 서비스, 타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제조업 역량을 강화하는 '제조업혁신 3.0 전략'의 핵심과제인 스마트공장을 보급해 5년 동안 1700여개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구축했다.

산업혁신운동 중앙본부에 따르면 5년 동안 산업혁신운동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불량률과 납기준수율 등 성과지표가 기업당 평균 67.5% 개선됐다. 참여기업은 9782명의 신규인력을 채용했고 1508억원을 신규 투자했다.

2, 3차 협력업체는 제조업의 뿌리이자 제조업의 생태계 건강성을 이루는 핵심적 요소다. 이들의 미래가 없으면 한국 제조업의 미래도 없다. 

(머니투데이 1월 7일 내용 일부)

소견)상생협력을 위해 대기업이 2, 3차 협력업체를 지원하는 산업혁신운동은 한국을 대표하는 포용적 성장모형이라 할 수 있다. 열악한 환경에 직면한 2, 3차 협력사가 생산성 혁신과 스마트 공장을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와 산업계의 연계지원,3만개 스마트공장지원사업에서 분활 지원이 시급합니다.




by 이남은 2019. 1. 13.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