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부터 늘 빵을 입에 달고 살아온 조 대표는 외부에서 조달하던 팥앙금을 직접 생산해보자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창업에 도전했다. 전북 익산시에 공장을 세우고 본격적으로 사업에 뛰어들었다. 팥의 향을 잃지 않으면서 최적의 식감을 살려 팥앙금 만드는 법을 거듭 연구한 끝에 제품화에 성공했다. 그리고 팥앙금 제품의 경우 국내 시장의 45%를 차지할 정도로 최고 품질과 기술력을 갖춘 앙금 전문 제조회사로 성장했다. 이는 지난 35년간 적극적인 시설 투자와 인재 발굴을 바탕으로 신제품 개발과 품질 개선, 기술 향상을 이뤄온 덕분이다.

하지만 식재료를 연구개발해 제품화한다는 것이 처음부터 쉬운 일은 아니었다. 곡물 가격이 등락할 때마다 위기가 찾아왔다. 특히 1997년에는 대규모 자금을 투자해 앙금 설비를 증설했으나, IMF 외환위기가 발생했다. 환율이 급등하면서 곡물 등 원·부자재 수입 가격도 껑충 뛰었다. 가을부터 봄까지 곡물을 수매해서 앙금을 만들어야 하는데 하루하루 살얼음판 위를 걷는 상황이 이어졌다.

이때 큰 힘이 되어준 곳이 바로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다. 1997년에는 정책자금 지원으로 유동성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1998년에는 중진공의 도움으로 전산화 구축을 시작했다. 그때 핵심설비인 자동화 창고와 MIS(경영정보시스템)를 갖춘 덕분에 1000억원 매출의 회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에도 중진공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으로 인연이 계속 이어졌고, 지난해에는 `제조현장 스마트화 자금`을 활용해 본격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했다. 중진공은 기업별 경영관리, 정보화 수준 등에 맞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해 기업진단을 실시하고 제조현장 스마트화를 위한 개선 전략을 제시해준다. 중진공 관계자는 "올해 5000억원 규모의 `제조현장 스마트화 자금`을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을 집중 지원할 계획으로 시설자금은 최대 70억원, 운전자금은 최대 10억원까지 장기·저리로 정책자금을 융자받을 수 있다"고 전했다.

(매일경제 2월 4일 내용 일부)

소견)최신기술 기반 스마트공장 플랫폼 구축 등 대두식품의 생산시설은 업계 최고 수준이며 빵, 떡, 면, 패스트푸드까지 다양한 음식에 적합한 프리믹스 쌀가루로 세계 시장을 공략, 향후 기대가 됩니다.

by 이남은 2020. 2. 13. 00:25

*불황 극복은  생산성 향상에서

생산성은 ‘성과물’과 그 성과물을 획득하기 위해‘투입된 양’을 말하며, ‘성과÷투입자원’이라는 나눗셈으로 계산된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성과 제고’와 ‘투입 자원량의 삭감’이라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즉 안이하게 투입 자원량을 늘리려 하지 말고, 비용 삭감뿐 아니라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법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혁신(Innovation)에는 신기술, 패러다임 시프트(발상의 전환), 비즈니스 공정의 재구축 등이 있으며, 개선(Improvement)에는 낭비배제, 효율화, 기술 향상 등이 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네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선(Improvement)을 통해 투입 자원을 줄인다. 즉 작업 순서를 변경하거나, 불필요한 작업을 줄이며, 공구 놓는 장소를 변경하는 등 일하는 환경을 정비해서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둘째, 혁신(Innovation)을 통한 투입 자원을 줄인다. 로봇 등의 대형 공작기기를 도입해 조립 공정을 자동화하거나 제품 설계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함으로써 부품의 수나 설계도면 수를 대폭 줄이는 등 수많은 혁신 방법이 있다. 

셋째, 개선(Improvement)을 통해 성과를 높인다. 작업자를 연수시키거나 숙련된 기술자의 기술을 신인에게 전수함으로써 좀 더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만들게 한다. 부가가치를 판단하는 것은 기업이 아니라 소비자가 한다.

넷째, 혁신(Innovation)을 통해 성과를 높인다. 새로운 기능이 있는 신소재를 개발해 부가가치를 월등히 높임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조직 전체의 생산성 향상은 기업이 낳을 수 있는 부가가치의 크기를 규정하고, 각각의 경쟁력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영 과제 중 하나다. 따라서 지금부터라도 모든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생산성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겸허하고 진솔하게 일에 대한 생산성을 조금이라도 높이고자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충청매일 6월 13일 내용 일부)

소견)세계적인 혁신 기업들은 철저히 업무의 효율을 추구한다. 그리고 남은 시간을 ‘혁신을 위한 시간’으로 적극적 활용함으로써 더 높은 혁신 기업으로서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 생산성 향상은 제조업의 전유물이 아니다. 생산성은 새로운 아이디어로 성과를 올리는 조직에 더욱 적합하다. 생산성이 창의력을 저해한다는 생각은 명백히 잘못된 생각이다. 생산성이야말로 창의적인 조직의 경쟁력을 더욱 강하게 하며 기업 제1의 존재 이유입니다.


by 이남은 2018. 6. 15.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