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국제기능경기대회'는 기술 인력을 육성하고 발굴하기 위해 매년 국내 각 계열사와 해외법인 임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기술 경연 대회다. 2008년 첫 해 대회가 열렸다.

제조현장의 핵심 기능 직종인 △자동화시스템 구축 △전기제어시스템 제작 △제조설비·지그 설계 △CNC밀링가공 △ 로봇티칭·응용프로그래밍 등 5개 부문에서 대회를 진행한다.

올해는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로봇티칭·응용프로그래밍 부문을 신설했다.

기능경기대회와 함께 스마트팩토리 관련 장비·로봇 전시와 기술 세미나도 함께 열린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최근 개관한 스마트러닝팩토리(K-Factory) 투어도 마련돼 대회 참가자와 참관객들이 직접 살펴볼 수 있다. 

전시와 세미나엔 에이원, 훼스토, 쿠카, 내셔널 인스트루먼트, 오므론, 파커, 로크웰, 지멘스, 에스엠씨, 욜로 엔지니어링 등 10개 회사도 참여했다.  기술인재 육성과 저변확대를 위해 2006년 고용노동부와 기능장려 협약을 체결하고 2007년부터 '국제기능올림픽대회'와 '전국기능경기대회'도 후원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전무 시절이던 2009년 캐나다 국제기능올림픽을 찾아 "제조업의 힘은 현장이고 현장의 경쟁력은 기능인력에서 나온다"고 말하는 등 제조 기술의 중요성을 수차례 강조했다. 

장시호 삼성전자 글로벌품질혁신실장(부사장)은 "올해 대회에선 스마트 제조 현장에서 핵심 역량으로 요구되는 로봇 분야의 직종을 신설하는 등  
다양한 기술 동향을 반영했다"며 "기술 협력과 교류의 장을 더 활성화하고 인재육성을 통해 핵심 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4월 11일 내용 일부)

소견)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열린 제 12회 '삼성국제기능경기대회'에서 4개 전자 계열사 국내외 임직원들이 전기제어시스템제작 직종 경기과제를 수행하고 있어 지속해서 추진하기를 기대합니다.

by 이남은 2019. 4. 13. 00:36

*잇단 사업장 사망사고, 위험의 ‘무인화’가 답이다

사망 사건들이 연이어 터지니 정재계, 언론 너나 할 것 없이 사고가 터진 기업에게 매를 들기 바쁘다. 개중에는 솜방망이인 법을 엄정하게 바꿔 기업 ‘군기’를 이번 기회에 단단히 잡자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이는 신통찮은 처방이다. 대부분 사업장 사망 사고는 필연적으로 사고를 부르는 위험한 공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어떠한 정책으로 사고 발생률을 낮추려 해도 사고 발생 제로화는 요원하다는 말이다. 

비관적으로 말하면 사업장 사망사고에 대한 기준이 더욱 엄격해지더라도 한국 기업들은 ‘문제가 생겨도 무관한 인력’으로 위험을 외주화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위험의 외주화는 이미 한국 산업계에 널리 퍼져있는 요술방망이이기도 하다. 

이미 한국은 근로자 1만명 당 기계를 710대 쓰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로봇을 많이 쓰는 국가다. 위험공정 무인화가 영 황당한 소리는 아닌 셈이다. 

일부 중후장대 기업 역시 이런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회적 질타와 비용을 고려해본다면 무인화가 나을 수도 있다고 입을 모으기도 했다. 

다만 이 문제는 역설적으로 국내외 인권단체와 노동자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AI 탓에 일자리를 잃고, 생존권을 위협받는다는 게 이들 주장의 골자다. 

하지만 이런 주장은 구더기가 무서워 장을 못 담그는 것과 진배없다. 한국은 이미 ‘인구절벽’ 국가다. 일부 업종은 얼마 남지 않은 시간에라도 전면무인화를 추진하지 않는다면 존립이 어려운 형편이다. 

물론 현실적으로 다품종 소량생산 공정은 무인화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가올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최근 연이은 사고들처럼 안타까운 목숨이 희생되는 일은 없어야만 한다. 일부 직업이 역사의 뒤편으로 퇴장할 수 있지만 필연적으로 생존을 위협하는 업무를 지속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올해에는 한국 사회가 엄격한 정책과 위험의 외주화로 서로 갈등을 일으키기보다는 비용과 효율성이라는 자본주의 논리에 따라 위험공정의 전면무인화를 이뤄내길 바라본다.

(쿠키뉴스 3월 1일 내용 일부)

소견)결국 해답은 고위험 공정의 전면 무인화뿐이다. 협동로봇과 인공지능(AI) 등을 도입해 사업장마다 목숨을 잃기에 십상인 위험 작업에 자동화로 인간의 전면 퇴진을 추진해야만 합니다. 로봇은 3D공정과 단순반복공정에 적합합니다.


by 이남은 2019. 3. 4. 00:30

*“위기의 제조업, 스마트공장이 답이다”



 시는 스마트공장 도입을 고민하고 있는 지역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공장 사전 진단·분석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것으로 기업 부담은 없으며 14개 김해 기업들이 기업 현황 진단·분석을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전략 수립을 지원받았으며 올해는 경남테크노파크에서 신청을 받아 추진한다. 

아울러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스마트공장 도입 희망 중소기업이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전국에 시범공장 20여개를 구축할 계획으로 시는 기존 스마트공장이 시범공장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홍보와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해당 사업에 선정되면 기업당 최대 3억원 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스마트공장 전문인력 양성사업도 실시하고 있다. 기존 4개 대학에서 수행하던 사업을 올해부터 인제대를 포함한 창원대, 폴리텍대학 등 도내 6개 대학으로 확대, 경남지역 만39세 이하의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구축, 유지관리, 고도화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특히 인제대는 2019년 하반기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단계별로 스마트 데모공장을 구축해 스마트공장 맞춤형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시는 보다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스마트공장 확대 정책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내달 6일 중소기업비즈니스센터에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허성곤 시장은 “현재의 제조업 위기를 극복하고 재도약하기 위해선 스마트공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김해시는 관내 제조업체들이 스마트공장을 통한 제조혁신으로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확산에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전 세계는 지금 제조업 경기 침체에 따른 위기 탈출의 돌파구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4차 산업혁명을 국가 전략으로 삼고 관련 산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반중의 하나로 스마트공장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제조업 생산성 고도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안으로 스마트공장만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스마트공장은 제품기획과 설계, 생산, 유통,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 ICT를 접목해 생산시스템을 최적화, 최소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지능화된 공장이다. 

(한국내추럴타임즈 2월 20일 내용 일부)

소견)현재의 제조업 위기를 극복하고 재도약하기 위해선 스마트공장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제조업체들이 스마트공장을 통한 제조혁신,로봇자동화로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확산되여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9. 2. 24.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