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상가들의 천국 CES를 가다


올해도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를 다녀왔다. 참석 횟수가 늘어날수록 새로운 것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전 세계의 몽상가들이 가져온 다양한 아이디어를 즐기는 게 CES의 핵심이라고 여겼다. 아이디어에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한 이야기가 숨어 있었다. 물론 기술에 기반한 해결책도 들어 있었다. 비록 어떤 이는 시제품 수준에도 못 미치는 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어떤 이는 그저 부스에 앉아 아이디어만을 이야기했다. 미래는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만드는 것이다. 그들은 미래 세상에서 자신의 아이디어가 사람들을 더 행복하게 만들 것이라 확신했다. 하지만 다음 해 그런 멋진 아이디어를 더 발전시켜 CES에 제품으로 만들어오는 이는 소수에 불과했다. 필자는 아이디어는 어쩌면 그렇게 중요한 게 아닐지 모른다고 생각했다.

CES는 매년 1월 초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소비자(Consumer) 전자제품(Electronics) 전시회(Show)이다. IT 기술의 발전은 센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의 기술과 더불어 일상의 거의 모든 도구를 전자제품으로 바꾸고 있다. CES도 이런 트렌드를 반영해 특정 분야의 전시회로 스스로 규정하지 않는다. 자동차를 비롯해 온갖 다양한 제품과 기술을 받아들인다. 20만명에 가까운 인원을 무리 없이 수용할 수 있는 라스베이거스라는 도시의 특성도 한몫했다. 여느 IT 전시회와는 차별화된, 규모와 미디어의 관심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전시회로 거듭났다.

CES에서 하루에도 수십 번 확신과 절망 사이를 오가는 수많은 창업자를 만났다. CES를 그저 둘러보기만 해도 느껴지는 열정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새로운 의욕을 가지고 돌아가게 만든다. 올해 관람객이 내년에는 어딘가 작은 부스를 열고 손님이 아닌 주인으로서 자신의 아이템을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며 열정을 발하게 될 것이다.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어떤 나라의 누군가가 던진 한마디가 계속 기억에 남아, 자신의 제품을 개선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며, 그렇게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이다. 이렇게 CES는 전 세계 몽상가들의 아이디어를 화학적으로 반응시키고, 투자자와 창업가들의 협력을 유도할 뿐 아니라, 새로운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이며 세상을 더 발전시킨다. CES는 인류의 집단 지성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시사IN 1월 30일 내용 일부)

소션)아이디어가 훌륭하면 다른 이들 또한 조금씩 다른 방식, 혹은 다른 목적으로 그 아이디어를 활용한다. 복제나 특허 같은 문제와 무관하게, 그 아이디어의 뛰어남을 말해주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즉, 자신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만들려 하기보다 누군가가 먼저 제시한 아이디어를 조금씩 바꾸어 시도하는 것이다. 아이디어는 낡은 요소의 새로운 배합입니다.


by 이남은 2019. 2. 5. 00:30

*소니, 20년 만의 최고이익…네트워크 회사로 변신


소형 카세트 플레이어인 워크맨 신화로 시작해, 가전과 컴퓨터 등 

소니 브랜드가 가지고 있던 일종의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는 많은

이들에게 소니를 찾게 하는 원천적인 힘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변하지 않는 회사가 기울어지는 것은 전 세계 비지니스계의 

불변의 진리, 2000년대 들어 소니는 퇴락한 명문가의 이미지를 갖는

 그렇고 그런 가전회사로 전락해가고 있었다.

그러던 소니가 최근 몇 년 사이 놀라운 변신을 통해 새로운 장을 열

준비를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제조회사로서가 아닌 '네트

워크 회사'로서의 변신이 자리 잡고 있다.

극적인 변신에는 '서비스'를 파는 회사로의 변신이 가장 컸다고 니혼

게이자이 신문은 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가정용 게임기인 플레이 스테이션이다. 플레이 

스테이션이라는 게임기만을 판 것이 아니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영화나 뮤직비디오 등을 판매하는 유료 회원 서비스가 미국에서 

호조를 보이면서 이익 확대에 이바지했다는 분석이다. 

(KBS 6월 10일 내용 일부)

소견)"소비자가 놀 수 있는 장을 만들어라."라는 온라인 회사의 대명제

를 소니는 플레이 스테이션이라는 하드웨어에 접목해 만들어낸 결과

입니다.


by 이남은 2017. 6. 16. 00:30

*오리온 이경재 사장 “과자 과대포장 관행 바로잡을 것”


오리온은 8월 말 감자스낵인 포카칩 무게를 10%(개당 60→66g) 늘리면서 

가격은 올리지 않았다. 지난달엔 같은 방식으로 초코파이 중량을 11.4%

(개당 35→39g) 늘렸다. 

기업이 생산원가 상승을 자처해 소비자 이익을 늘린 보기 드문 경우다. 

논란의 중심에 선 이경재 오리온 사장(56·사진)에게 그 이유를 들어 봤다.

지난달 28일 서울 용산구 오리온 본사에서 만난 이 사장은 한국의 과자

 과대포장 관행에 대해 “그동안 잘못한 것”이라고 인정했다. 그는 “제과

업계에서 원가절감 경쟁이 벌어지고 경영환경이 어려워지다 보니 과대

포장 문제가 생겨났다”며 “잘못된 점이 있으면 우리가 나서서라도 바로

잡겠다는 생각에 시도한 것이 중량 늘리기”라고 말했다.

오리온은 지금까지 8개 제품의 무게를 늘렸다. 회사의 국내 매출 가운데

 약 60%를 차지하는 제품군이다. 오리온은 초코파이와 포카칩 증량으로만

 연간 70억 원의 추가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동아닷컴 11월 5일 내용 일부)

소견)적어도 대한민국 소비자들이 외면하지 않는 과자를 만들어야 세계 

시장에서도 싸울 것 아니냐.(수입과자와 경쟁) 소비자를 이길 수 있는 기업은 

아무도 없다고 강조한 것은 당연합니다








by 이남은 2015. 11. 11. 00:30

*식물성 천연재료만 고집--광고,포장엔 돈 안써요


러쉬가 제품을 포장하지 않고 파는 데는 이유가 있다. 

하나는 환경 문제다. 조류 관찰자이기도 했던 콘스탄틴씨는 오염된

 바다를 보면서 친환경 제품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

 러쉬 제품 절반 이상이 포장 없이 팔린다. 나머지도 모두 재생 

플라스틱 용기 등에 넣어서 팔고, 100% 재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이유는 비용이다. “포장을 근사하게 하려면 돈이 많이 들어요. 

예컨대 보디클렌저 한 병을 사면, 원가는 아마 20%도 안 될 겁니다.

 포장을 간소하게 할수록 소비자에게 더 큰 만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조선 비즈 12월14일자 포장 안하는 러쉬 중에서)

소견)

러쉬의 3원칙이 천연재료,무광고,무포장 인데 우리나라도 이런 

회사가 늘어나야하고 이런회사가 잘 되어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4. 12. 14. 04:3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