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시간 단축 따른 기업 하소연, 정부는 귀담아들어야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이 어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기업인들과 만났다. 오는 7월 근로시간 단축 시행을 앞두고 현장 목소리를 듣겠다는 취지였다. 이 자리에 참석한 대기업 관계자들은 근로시간 단축이 관행적 야근 등 불필요한 근무시간을 줄일 것이라는 점에는 수긍하면서도 인건비 증가와 납기 대응 능력 저하, 임금 감소에 따른 노조 반발 등 예상되는 부작용을 지적하며 정책 지원과 제도 보완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시행이 얼마 남지 않아 얼마나 혼선을 줄일 수 있을지 우려된다는 심정을 토로했는데 정부는 이들의 하소연을 귀담아들어야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 우리나라는 연간 근로시간이 최고 수준이고 요즘은 일과 생활의 균형을 강조하는 추세라 근로시간 단축은 불가피하다. 문제는 시행이 임박한 시점에서 현장에서는 전혀 다른 목소리가 나온다는 사실이다. 기업들은 계절적 요인이나 제품 수명주기 등에 따라 일이 몰릴 수 있는데 근로시간 단축으로 납기를 제때 맞추지 못할까 걱정하고 있다. 연구직같이 업무 성격상 장시간 몰입 근무가 필요한 직종을 어떻게 해야 할지도 골칫거리다. 그러지 않아도 인력난에 허덕이는 중소기업은 더 많은 사람을 구해야 하는 현실 앞에서 한숨만 쏟아낸다. 근로자들이라고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다. 초과 근무 단축으로 임금이 줄기 때문이다. 국회 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주당 법정 근로시간이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면 근로자 월 임금은 평균 37만7000원 감소한다.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월급 감소 폭이 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양극화도 심해진다. 이 때문에 `저녁이 있는 삶`을 얻는 대신 `미래가 있는 삶`을 잃었다는 푸념까지 나온다. 이런 불만에 편승한 노동계가 깎인 수당만큼 임금을 올려달라고 투쟁에 나선다면 노사 갈등은 더 극심해질 것이다

정부는 신규 채용 기업을 지원하고 근로자를 위해 줄어든 임금을 보전해 주는 등 후속 대책을 세우고 있지만 좀 더 근본적인 해법이 시급하다. 현장을 꼼꼼하게 반영해 근로시간 단축 특례 업종을 확대하고 일본 등 선진국처럼 다양한 유연근로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규제를 풀고 설비 투자 지원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지속가능한 근로시간 단축 효과를 볼 수 있다.

(매일경제 5월 3일자)

소견)기업들은 계절적 요인이나 제품 수명주기 등에 따라 일이 몰릴 수 있는데 근로시간 단축으로 납기를 제때 맞추지 못할까 걱정하고 있는데 개선방안이 필요하지 않겠습니까?


by 이남은 2018. 5. 5. 00:30

*일본, ‘자동화 수요 증가’ 중국 산업로봇시장 잡아라


중국 제조 업계에 자동화 바람이 불면서 이를 노린 일본 산업 로봇 업체들이 중국 시장의 문을 적극 두드리고 있다. 

최근 중국의 제조업계는 인건비 증가와 인력 부족 문제로 생산에 난항을 겪으면서 산업로봇 도입 및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일본 닛케이아시안리뷰는 19일(현지시간) 일본 산업로봇 시장이 이 시기를 놓치지 않고 중국의 산업 로봇 수요를 파고 들어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전했다.

전세계 로봇업계 2위 업체인 일본 야스카와전기는 일본 산업용 로봇의 중국 진출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 일본 일간공업신문에 따르면 2015년부터 야스카와전기는 중국 가전제품 업체인 메이디 그룹과 제휴를 맺고 산업용 로봇을 공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이 합작업체는 냉장고 포장용 로봇과 식기세척기 로봇을 만들어 제조 현장에 도입하고 있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일 보도에서 두 업체가 작년 3월부터 의료 및 간호 로봇 분야 개발을 추진해 올해 5월 말 재활을 돕는 의료 로봇을 출시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전세계 로봇업계 2위 업체인 일본 야스카와전기는 일본 산업용 로봇의 중국 진출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 일본 일간공업신문에 따르면 2015년부터 야스카와전기는 중국 가전제품 업체인 메이디 그룹과 제휴를 맺고 산업용 로봇을 공급하고 있다. 현재까지 이 합작업체는 냉장고 포장용 로봇과 식기세척기 로봇을 만들어 제조 현장에 도입하고 있다.  

야스카와 그룹의 중국 사업부 책임자는 “중국에는 자동화 공장으로 변화하려는 제조업체가 아주 많다”면서 “인력을 필요로 하던 수동 생산에서 완전한 자동화에 이를 때까지 로봇 사업은 아주 유망한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야스카와 사는 또한 지난 4월 중국의 에버윈정밀테크놀로지 사와 8월부터 합작법인을 설립해 스마트폰 제조용 로봇을 개발·생산하기로 협력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국제 로봇 정보를 공유하고 통계자료를 제공하는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2015년까지 중국은 전체 산업로봇 판매량의 30%를 차지했다. 연맹은 또 중국의 산업로봇 판매량이 빠르게 증가해 2019년에는 전세계 판매량의 40%를 중국이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아시아투데이 11월 19일 내용 일부)
소견)중국이 이처럼 제조 현장에 로봇을 빠르게 도입하는 것은 인건비 상승과 인력 부족의 문제가 주된 이유며 많은 중국 제조업체들은 일본 기술을 도입해 높은 품질의 상품을 생산하는 것에도 관심을 쏟고 있어 향후 기대가 됩니다.




by 이남은 2017. 11. 28. 00:30

*중국, 산업용 로봇의 무서운 급성장...4차 혁명 이끌 것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이 2015년 세계 시장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내 산업용 로봇 수요 기반이 확대되면서 로봇을 활용한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산업 로봇 발달이 제조업 혁신을

이끌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LG경영연구원이 9일 발표한 ‘중국 제조혁신 동력될 산업용 로봇 급성장’ 보고서

에 따르면 중국 시장에서 중국 현지 로봇 기업들은 돋보이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들은 글로벌 로봇 기업과 협력을 하거나 자체 개발을 하며 성장 중이다.

메이디(Midea), 창홍 등 대부분의 가전 기업들은 글로벌 로봇 기업과의 인수 혹은

 협력을 통해 몸집을 키우고 있다. 하이얼(Haier), 거리(Gree) 등은 글로벌 로봇

기업과의 협력보다 주로 자력 개발을 추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자생적인

현지 로봇도 약 800여 개에 달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성장 중이다.

특히 중국 로봇 기업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2014년 30%에서 2015년 34%로

높아졌을 정도다. 중국의 산업용 로봇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요인은 노동인구의

 감소추세와 인건비 증가, 여기에 한발 앞선 기업의 높은 생산성 영향이 크다.

(데일리안 1월 9일 내용 일부)

소견)실제 마우스와 키보드 등을 제조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제조업체 라푸(Rapoo)

는 산업용 로봇을 생산공정에 투입한 후 약 50%의 원가절감효과를 거뒀고,

또다른 기업 산니(Sany)는 용접작업에 산업용 로봇을 도입한 후 제품수명이

 2배로 연장되고 A/S문제도 약 75%가 감소하는 성과를 거둬 향후 기대가 큽니다.

 

by 이남은 2017. 1. 12.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