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스마트공장 숫자 채우기 지양해야

경남도가 침체에 빠진 도내 제조업을 살리기 위해 최근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4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4년간 2100억원을 투입해 매년 500개씩 모두 2000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기업이 부담하는 구축비용을 50%에서 30%로 완화, 스마트공장 구축기금 200억원 조성, 스마트공장 민관합동추진협의회 구성 등이 주요 골자다.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생산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생산성을 높이고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지능형 생산 공장을 말한다. 스마트공장 확산정책은 중소기업 혁신성장을 위해 문재인정부가 내건 주요 과제이기도 하다. 도가 제조업 혁신을 위해 종합계획을 내놓은 것은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일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현장의 목소리가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고 다양한 주문이 나와 주목된다. 사실 도내 중소기업들은 대기업으로부터 설계도면을 받아 단순 생산·가공·조립 위주로 사업을 영위해 왔다. 이런 현실에서 스마트 공장 확산도 중요하지만 이에 걸맞은 연구개발을 통한 혁신기술이 확보되지 않으면 단순 공장 자동화에 그쳐 기업경쟁력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또 스마트 공장 구축이 반드시 수주로 이어질 거란 보장도 없는 상황이라 더 급한 것은 일감 확보라는 지적이다. 특히 경제혁신정책에 앞서 중소기업들이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경영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은 최근 2년 사이 30% 가까이 오른 최저임금 부담의 심각성을 보여준다.

인건비 절감과 생산성 향상 등으로 도내 제조업이 재도약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공장 구축은 필요하다. 생산성 30% 증가, 불량률 45% 감소, 원가 15% 절감 효과가 있다는 분석도 있다. 

(경남신문 8월 24일자)

소견) 4년 내 2000개로 늘리겠다는 도의 수치 목표는 숫자 채우기란 인상을 준다. 공장에 특별한 기술 없이 기계만 지능화하는 것은 효과가 제한적이다. 중요한 것은 특정기간 내 보급 숫자에 연연할 것이 절대 아니라 선택과 집중을 통해 성공 모델을 발굴해 확산시켜 나가야 합니다. 또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설비의 국산화율을 높여 수출로 이어가는 것이궁극적인 최종 목표가 아니겠습니까?




by 이남은 2018. 8. 25. 00:30

*지금 세계는 ‘스마트 팩토리’ 선풍


세계적인 IT컨설팅 기업 중 하나인 캡제미니(Capgemini)가 발표한 보고서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에 따르면 세계 주요 기업들 가운데 84%가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고 있거나 앞으로 구축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팩토리’란 설계·개발, 제조·유통·물류 등 생산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지능형 생산 공장을 말한다. 자동화 기술과 함께 로봇공학,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이 대거 투입되고 있다.

‘스마트 공장’이란 독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성장 전략 ‘인더스트리 4.0’에서 비롯된 개념이다.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양질의 상품 제작기간을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독일 정부의 노력은 ‘스마트 공장’이란 개념을 탄생시켰다.

기존 생산 과정을 상징하는 것이 재고품이다. 생산자에서 도매시장으로 도매시장에서 소매지장으로, 소매시장에서 소비자에게로 상품이 이전되면서 재고품이 쌓이게 되는데 모든 기업이 이 재고품 관리 때문에 몸살을 앓아왔다.

그러나 ‘스마트 공장’을 통해 이 난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에 이르는 전 과정을 디지털로 연결함에 따라 요소 요소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실시간 파악과 함께 적정 생산·유통이 가능하다.

‘스마트 공장’의 기능을 대표하는 기능이 주문 제작이다. 온·오프라인을 통해 소비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주문받아 빠른 시간 안에 그 상품을 제작·유통하게 됨에 따라 재고품 누적으로 인한 손실을 줄여나갈 수 있다.

(ScienceTimes 7월 19일 내용 일부)

소견)재고품 누적으로 골머리를 앓아오던 제조업체들 입장에서 ‘스마트 공장’ 도입을 반기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제조업체들의 또 다른 고민사항인 엔지니어 부족난 역시 ‘스마트 공장’ 설립을 반기는 이유 중 하나다.




by 이남은 2017. 7. 20.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