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과 자동차 등 한국 주력 제조업이 위기를 겪는 동안 미국과 일본 등 전통 제조업 강국은 과거 위상을 되찾기 위해 돌파구를 '스마트 팩토리'에서 찾고 있다. 소비자 니즈에 발빠른 대응이 가능하고,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 국가는 자동화로 생산성 향상과 함께 신규 일자리 창출, 글로벌 경쟁력 확보까지 '신제조업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뉴스토마토>가 창간 4주년을 맞아 국내외 기관들의 자료를 취합한 결과 지난해 미국은 '첨단제조 파트너십(AMP 2.0)'에 5억달러(한화 5900억원), 일본은 '소사이어티 5.0'에 1007억엔(1조800억원)의 예산을 반영해 시행 중이다. 독일도 해마다 '인더스트리 4.0'에 2억유로(2700억원)의 자금을 정책적으로 지원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대규모 자금을 풀어서라도 4차산업혁명 시대 주도권 확보를 위한 경쟁에 뒤처지지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른바 '신제조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융합을 기초로한 스마트 팩토리에 승부를 건 것이다.

우선 독일은 4차 산업혁명 전신인 '인더스트리 4.0'을 통해 제조업 부흥에 나섰다. 지멘스의 암베르크 공장이 대표적 사례다. 공장은 설비와 부품에 1000여개의 센서를 부착해 전체 공정의 75%를 자동화했다. 매일 수천만건의 공정 데이터를 분석해 불량건수를 100만개당 약 11.5개로 크게 낮췄다.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는 세제 혜택과 규제 완화로 해외로 빠져나갔던 공장들을 다시 자국으로 불러들였다. 무인화된 스마트 팩트리도 한몫했다. 예컨대 테슬라는 미국 내에 모든 공장이 집결해 있다. 매주 2000대의 자동차가 생산되고 있는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공장은 1000대의 로봇을 활용해 조립 라인을 구축했다.

일본은 미래 비전 4대 전략 분야 중 하나로 제조업 생산성을 지목하고 공장의 스마트화에 팔을 걷었다. 다만 미국·독일과는 차별화되게 '에징 컴퓨팅(데이터를 현장의 기계나 공정에서 직접 분석)'에 초점을 맞췄다. 화낙(FANUC)사가 대표적이다. 화낙사는 현장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고 스스로 작업 속도를 개선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공정 반응 속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부하를 줄인 것이다.

정부도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을 3만개로 늘린다는 목표다. 제조혁신 예산만 1조3000억원을 배정했다. 일부 기업도 발빠르게 대처 중이다. 동양피스톤과 LS산전 등의 경우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대표적 기업으로 꼽힌다. 

(뉴스토마토 5월 13일 내용 일부)

소견)스마트 제조를 주저하는 동안 그만큼 신성장 동력 확보가 늦어졌으며 스마팩토리를 고용감소가 아닌 신산업으로 더 큰 가치창출로 이어지는 관문으로 이해해야 합니다.스마트팩토리로 경쟁력을 올려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9. 5. 18. 00:58

*제조업 혁신은 ‘선택’ 아닌 ‘필수’


최근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인해 무역장벽이 높아지는 등 우리 경제를 

둘러싼 무역 환경이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이런 상황 속에서, 수출기업들

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조업의 스마트화 혁신은‘선택’이 아닌

‘필수’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도 기획·설계, 생산, 유통·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으로 통합해 생산시스템을 최적화하는 스마트

공장을 통해 제조업 혁신을 이끌어낸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 1만개 보급을 목표로 올해 총 1천108억원을 투입해 2천200개

 이상의 중소·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에 나섰다. 

행사에 참석한 삼호프레스(품목: 프레스 기계·설비) 김수민 실장은“이번 

설명회와 상담을 통해 다소 생소했던 스마트공장 개념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고, 향후 스마트공장 구축에 대한 로드맵을 그릴 수 있었다”며 중소기업

들이 동참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책홍보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업일보 2월 20일 내용 일부)

소견)대외 무역환경이 날로 어려워지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우리 수출기업

들이 지속 성장에 필요한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제조혁신에 

과감히 투자할 적기라고 밝혀 향후 기대가 됩니다.


by 이남은 2017. 2. 22. 00:30

*LG유플러스, NB-IoT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


“내년 홈 IoT는 100만 가입자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년 말까지 NB-IoT 

(NarrowBand-Internet of Things) 전국망을 구축해 IoT 사업을 더욱 가속화할

 예정입니다.”LG유플러스는 산업 IoT 분야에서도 플랜트의 보안, 안전, 환경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해주는 스마트 플랜트 솔루션을 제공한다. 

안 전무는 “산업용 IoT 서비스는 실제로 LG화학 공장에 적용돼 작업자의 

안전을 지키고 비용을 절감하며 산업 효율을 높이는데 사용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LG유플러스가 현재 구축하고 있는 대표적인 공공 IoT 서비스로는

 고양 스마트시티를 소개했다. 고양시는 불법 주차 문제를 IoT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도로 경계에 지자기 센서를 설치하고, 안전하게 호수 공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에 수질 관리 센서와 스마트 보안등을 설치했다. 


또한 쓰레기 모니터링 솔루션을 도입해 쓰레기통 적재량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고, 쓰레기 수거 차량이 최적의 동선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분석 솔루션을 

제공한다. 스마트 교통 솔루션은 주차 위반, 과속 위반 등을 감지해 사고를 

예방하고, 보행자 안전을 위한 솔루션도 제공한다.

(아시아경제 11월 24일 내용 일부)

소견)안 전무는 “스마트 시티 솔루션은 교통, 환경, 안전 등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 들을 해결해준다”라며, “공공 분야에서 스마트 미터링

으로 기존의 가스, 수도, 전기 검침을 시행해 소비자와 공급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관련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는데 기대가

큽니다.




by 이남은 2016. 12. 1.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