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아킬레스건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 역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최근

 추세라면 2018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평균 연령이 81세를 넘어섰다. 2017년부터는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

로 돌아선다고 한다. 특히 우려되는 대목은 25~49세의 핵심생산인구 

비중이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베이비부머 등 신중년층의 고용을 활성화하는 노력이 배가돼야 한다.

 ‘인생 이모작’을 뒷받침할 체계적 직업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적

기업 등 고령 친화적 일자리 발굴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장년 고용 확대를 위해서는 임금피크제 도입이 선결요건이다. 

일본이 이를 통해 정년연장의 충격을 흡수하고 있음은 타산지석이 

아닐 수 없다.

낮은 노동생산성은 또 하나의 아킬레스건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노동생산성 저하가 심각하다. 현대경제연구원에 의하면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001~2007년 연평균 4.6%에서 2008~2014년

 1.8%로 하락했다. 특히 서비스업의 낮은 생산성이 큰 문제다.

 2001~2014년 서비스업의 생산성은 제조업의 60% 수준에 머물렀다.

(헤럴드경제 11월30일 내용 일부)

소견)제조업 부문의 생산성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장시간 근로를

 지양하고 직업훈련을 통해 새로운 기술과 생산공정에 대한 적합도

 높여야 나가야합니다.








by 이남은 2015. 12. 9. 00:30

앞으로 30년간 퇴직 쇼크 … “노후 준비 패러다임 바꿔야”

이미 퇴직을 경험한 55~59년생 다섯 중 네 명이 지금도 일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국내 민간기업의 실질 퇴직연령이 평균 

53세를 갓 넘긴다는 점을 고려하면 퇴직자 상당수가 재취업·

창업·귀농 등을 통해 구직 시장을 떠나지 않은 셈이다. 
서울시 은평구 의 서울인생이모작지원센터. 2년 전 대기업에서

명예퇴직한 고영수(56)씨는 요즘 도심에서 고부가가치 과일이나

채소를 재배하는 도시농업 기술을 익히고 있다. 고씨는 “중소

기업으로 눈높이를 낮춰 여기저기 원서를 내봤지만 오라는 곳이

없었다”며 “함께 퇴직한 동료들도 비슷한 처지”라고 말했다. 

요즘 이 센터는 고씨처럼 재취업이나 새 일거리를 찾아 나선 

50대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원창수 서울인생이모작지원센터 

사무국장은 “2013년 2월 문을 연 지 2년도 안 돼 센터를 찾은

상담자가 1만 명을 넘어섰다”며 “올해는 지난 2년의 두 배로

늘 것에 대비해 예산도 지난해 20억원에서 35억원으로 

늘렸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내 제도와 관행은 여전히 고도성장

기에 맞춰져 있다. 내년부터 정년이 연장된다고는 하나 실제 

정년이 늘어나자면 임금피크제나 시간제 일자리 활성화 등 

후속 대책이 따라줘야 한다.(중앙일보1월15일 내용일부)

소견)현재 진행되고 있는 노동시장 개혁이 이뤄지지 않은 채 

베이비부머 세대의 퇴직 쓰나미를 맞는다면 좌우 이념대립 

못지않게 세대 간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 할수없이

정년퇴직이후에 노후20~30년정도 생계위해 또 일해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5. 1. 18. 03:5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