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의 역전 레이스 비결은 ‘혼류생산’


다른 완성차 업체들도 한 라인에서 2, 3개 차종을 만들지만 무려 7개

차종을 동시에 생산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부산공장은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에 속하는 전 세계 46개 공장 중에서도 혼류생산의 벤치

마킹 대상으로 손꼽힐 정도다.

혼류생산은 차종별로 다른 다양한 부품이 조립돼 단순작업 비중이 적고,

 단종이나 생산량 감소에도 라인 전체가 멈추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일자리라는 중대한 사안을 두고 공장 내 다른 라인 근로자들 사이에 

갈등이 생길 일도 없다. 다만 고품질 혼류생산을 위해선 숙련된 

노동력이 필수다.

르노삼성 부산공장 생산량은 2010년 27만5,000대에서 2013년에는 

12만9,000대로 47%나 곤두박질쳤다. 그러나 르노삼성은 대대적인 

구조조정 대신 최대한 공장 인력을 품으며 생산성 향상에 집중했다.

 덕분에 숙련된 노동력을 유지할 수 있었고, 생산성도 2년 만에 30%

 가량 높일 수 있었다.

(한국일보 4월 4일 내용 일부)

소견)르노삼성자동차가 5년 만에 내놓은 신차 SM6가 한달 만에 2만대

 계약을 돌파하며 자동차 시장의 지각 변동을 일으켰는데 전차종에

확대적용되길 기대합니다.









by 이남은 2016. 4. 13. 00:30

*1개 라인서 6개 車種 생산… 국내선 르노삼성 유일


국내 유일 '한 개 라인 6차종 생산'

르노삼성 부산 공장이 이처럼 잘나가는 비결은 뭘까. 첫째 다른 경쟁사

 공장은 한 개 라인에서 2~3개 차종(車種)을 만들지만 이곳은 6개 차종을

 만든다는 점이다. 승용차인 SM3, SM5, SM7과 SUV인 QM3, 전기차 

SM3 Z.E. 등을 한 라인에서 생산한다. 동일 라인 다(多)차종 생산은 대다수

 자동차 회사 노동조합이 반대한다. 부품 숫자가 많아지면 그만큼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르노 삼성은 달랐다. 3년 전 사측이 한 개 라인에서 

최대 6개 차종 생산이 가능하도록 시설을 고치겠다고 제안하자, 노조는

 흔쾌히 받아들였다. 이기인 부산 공장장은 "생존을 위해서는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에 노사(勞使)가 공감하고 일본 규슈의 닛산 공장을 

벤치마킹해 다차종 생산 체제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노조 관계자도 

"다른 건 몰라도 생산성 향상 문제만큼은 노사가 따로 없다"고 말했다. 

그 결과 최근 3년 만에 생산성이 30% 정도 향상했다.

(조선닷컴 10월 28일 내용 일부)

소견)올 9월까지 국내 생산량 59% 증가… 질주 비결은 "생존위해 생산성 

높여야" 노동강도 높은 多차종 생산을 한 덕택이라서 박수를 보내며

더욱 생산성향상이 기대 됩니다.















by 이남은 2015. 11. 5.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