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공장’으로 中企혁신 이끌겠다지만…방향·예산 ‘글쎄’


23일 중소기업계와 관계부처에 따르면, 일자리위원회는 최근 내놓은 ‘일자리 정책 5년 로드맵’에서 2022년까지 스마트 공장 2만개를 현장에 보급하고,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겠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다. 더 길게는 2025년까지 스마트 공장 누적 보급량을 최대 3만개까지 늘리고, 현장·전문 분야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스마트 공장 융합인력 4만명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스마트 공장은 정보통신(ICT) 기술을 제조업에 접목해 공장의 모든 요소를 완전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것을 말한다. 사물과 사람, 데이터와 서비스가 통합된 플랫폼으로 최근 각광받는 4차 산업혁명의 출발점이자 핵심요소로도 꼽힌다. 국내에는 지난해 기준 2800여개의 스마트 공장이 보급된 것으로 추산(산업통상자원부)되는데, 스마트 공장 설치 기업의 생산성이 23% 증가하고 불량률과 원가가 각각 46%, 16% 감소하는 등 일부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정책 설계자인 정부와 수요자인 기업에게 모두 ‘수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이런 폐해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국회 입법조사처는 최근 발간한 ‘스마트 공장 관련 정책의 현황 및 개선과제’ 보고서에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다품종 소량생산과 유연성이 중요하다”며 “그런데 (정부가 업계에 제시한) 스마트 공장 표준 플랫폼에는 수요자가 배제된 채 공급과정의 효율성 제고만이 강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해럴드경제 10월 23일 내용 일부)

소견)우리나라의 스마트 공장은 생산이력과 물류를 추적·관리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고 해외 선진국에 비해 낮은 국내 스마트 공장 기반산업 및 국내 공급사의 기술경쟁력과 부족한 예산도 개선해야 할 과제입니다.


by 이남은 2017. 10. 28.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