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노동생산성부터 끌어올려야


한국 경제는 수출 부진 및 경기침체를 야기하는 이런 국제 경제환경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해답은 ‘수출 경쟁력의 강화’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인력 양성시스템 구축, 기업 간 통폐합을 통한 규모의

 경제 극대화, 통상전략의 재편이 절실하다. 

일본이나 유럽연합(EU) 국가들이 대규모 양적 완화에 의한 자국통화의

 가치하락을 통해 경제활성화를 꾀하려고 한다면 한국은 기술·기능 

인력의 양성을 통한 노동생산성 향상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차제에 

기술인력 양성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

 기술인력 양성산업을 만들어 내는 수준까지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육성한 기술·기능 인력의 활동으로 각 단계의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킨다면 이는 자연스레 한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직결될 것이다.

 이런 인력 양성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한다면 ‘고용절벽’에 맞닥뜨린 

청년인력을 중심으로 한 간접고용 효과를 발생시켜 청년실업 해소에도

 적잖이 기여하게 될 것이다.

(한국경제 10월 8일 내용 일부)

소견)한국 경제가 경쟁력 강화 방향을 정확히 포착하고, 정책적 노력을

집중해서 수출경쟁력 강화는 물론 새로운 성장의 계기를 마련되야합니다









by 이남은 2015. 10. 15.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