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은 평균 30%, 매출은 평균 7.7%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물론 아직까지 갈 길은 멀다.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한 대다수 기업이 생산 공정 자동화에만 집중했다는 점은 한계다. 축적된 제조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만들고 이를 활용해 지능화로 연계하는 ‘진정한 의미의 스마트제조’에는 이르지 못한 실정이다.

스마트공장의 진정한 효과는 자동화 성과가 제품·공정 혁신으로 연결돼 수익성이 높아지는 선순환구조에 있다. 이는 가치사슬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는 ‘지능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실제 최근 구축된 스마트제조 시스템으로 생산성은 획기적으로 개선됐지만 제품 혁신이나 새로운 수요처 발굴을 통한 영업이익 증대가 이뤄지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공장이 자동화 수준에 그치는 것은 ‘스마트제조 생태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탓이 크다. 우리나라의 스마트제조 혁신은 수요자인 제조기업의 스마트화 지원에 치우쳐 있다. 스마트제조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에 대한 정책적 배려는 미흡하다. 지능화에 필수적인 디지털 엔지니어링 서비스 공급이 부족한 상태에서 스마트공장 사업을 추진한 결과, 그 효과가 초기 자동화 수준에서 단절돼 더 이상의 고도화 단계로 나아가지 못한다는 의미다.

(매일경제 7월 20일 내용 일부)

소견) 스마트제조 역량은 지능정보 기술 도입만으로는 단기간에 축적될 수 없다. 공정과 기술 융합차원의 스마트화를 조직 차원으로 확대해 기업별로 명확한 스마트화 추진 전략, 체계를 수립하고 긴여정이라 하나씩 실행해야 합니다.

by 이남은 2020. 7. 25. 00:34

*스마트공장 구축및 추진실무과정 2일차 교육


장소: 안산 중소기업연수원

강사:성균관대 스마트팩토리융합학과장 노상도 교수

[스마트공장의이해, 효율적인 적용전략과CPS]  내용 요약

아디다스:스피드팩토리 독일공장100~150평 소비자맞춤형 고급신발

신속제조. 애플 제조혁신 미국으로 이전예정--아디다스벤치마킹.

스마트제조 8대기술:스마트센서(멀티센싱),사물인터넷,빅테이터,클라우드,

CPS(사이버물리시스템),홀로그램,3D프린팅,에너지절감.

미국은 스마트제조, 독일은 스마트공장으로 1개양산 가능한공장으로 품질동일

가격동일으로 불량사전예방함.

CPS(사이버물리시스템): 상황인식, 판단(의사결정),수행을 지능적으로 처리함.

구글주행자동차는 도로데이터,센서판단,신호처리.사이버모델(1/2실제.1/2가상)

제조빅테이터,테이터 애널리틱스,실시간 가상화,사이버모델기반 최적의사결정

자동화 그위에 CPS(대쉬보드)언쳐지면 스마트공장입니다.


[반월시화 대표스마트공장: 동양피스톤] 공장견학및 질의응답

67년설립,총매출3600억,수출64%,국내1위,세계4위,자동차엔진용 피스톤제조

제조공정:설계,용해,주조,열처리,가공,표면처리,조립 등. 생산성/품질향상

CEO:스마트공장 고도화추진의지. 자동화+디지털화

주조공정:수직다관절로봇(가와사키)을 통한 주물이송및 주입.17개라인구성

가공공정:공정물류자동화,자동검사구현(초음파검사,치수검사) 29개라인구성

조립공정:정밀품질관리(미크론단위 오차관리).고객맞추형제품설계,

품질정보중심 실시간 공장운영관리(통계적품질관리SPC)

현장자동화부터 공장운영까지 일체화된 고도화 스마트공장 구현

(모듈형유연생산라인,IOT,CPS,빅테이터,인공지능의 유기적결합)


by 이남은 2016. 12. 22. 00:30

*"완전 자동화 스마트공장 구축"…산·학·연 황해권 네트워크 출범


에리카캠퍼스는 분기별로 포럼을 열고 분과별 위원회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공학교육을 ‘4차 산업혁명’에 맞게 개편하기 위해 ‘제조혁신

공학교육’을 하기로 했다. 이 부총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스마트제조’를

 선도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공학 커리큘럼을 융합형으로 개편한다”고 밝혔다.

 이기형 에리카캠퍼스 산학협력단장(기계공학과 교수)은 “우리가 추구하는 

‘프라임 제조혁신 공학교육’의 핵심은 ‘다학제 융합 스마트제조 공학교육’

이라고 설명했다.

에리카캠퍼스는 제조혁신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조기술 분야, 정보통신

기술(ICT) 분야, 통합운영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스마트

제조 교육과정을 운영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기계공학 분야에선 기존 기계공학

교육을 심화시키면서 스마트 제조공정교육에 초점을 맞춰 스마트로봇, 

기계 개발 요소 기술을 훈련시킬 예정이다. 기계융합 제조공정 설계 등의 

시스템 운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계가공실습 교과목을 재편할 방침이다. 

(한국경제 11월 16일 내용 일부)

소견)로봇공학 분야에선 지능형 제조로봇 공학교육에 주안점을 둬 스마트제조

와 로봇, 디지털 매뉴팩처링, 사이버물리시스템(CPS) 교과목을 개설해 협업을

 강화시킨다고 하는데 두고 봐야합니다.



by 이남은 2016. 11. 18.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