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제조 산업에서는 ‘스마트공장’ 이야기가 꽃을 피우느라 한창이다. ‘세계는 로마를 통한다’는 말을 ‘제조는 스마트공장으로 통한다’로 바꾸어야 할 정도이다. 스마트공장을 구현하는 기술은 한둘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센서,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 그리고 인공지능(AI)이 있다. 물론 디지털화 기술은 기본이다. 그런데 여기에 로봇도 추가할 수 있다. 혹자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로봇은 4차 산업혁명을 돕는 기술이라기보다 3차 산업혁명을 촉진한 기술이 아닌가?’ 맞는 말이고, 상당 부분 사실이다.

인공지능을 이야기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굉장한 멋진 수준의 기술’을 상상한다. 사람이 하지 못하는 일을 척척 처리하며 스스로 판단하고 활동하는 기술…. 이는 영화가 만든 환상이라 본다. 인공지능은 인간이 귀찮아하는 3D(더럽고, 힘들고, 위험한) 일 중에서 반복적이거나 시간을 지나치게 소비하게 하는 일을 사람 대신 처리하는 기술에 불과하다고 본다. 적어도 산업 현장과 제조 현장에서는 현재의 인공지능을 그 정도로 봐야 한다.

(AI 오디세이 12월 24일 내용 일부)

소견)테슬라는 자신들의 차량 생산을 위해 수백 대의 로봇을 동원하고 있다. 자동차 업체로서는 후발주자답게 로봇 사용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자동차 한 대의 차체를 로봇이 들어서 옮기는 것은 아주 인상적인 정도이다. 이전에는 그런 일을 로봇에게 시키지 않았지만 가능하면 로봇에게 대부분의 일을 시키려 하는 것을 볼 수 있다.로봇 예방보전

by 이남은 2020. 12. 29. 00:31

*스마트팩토리, 장기적 관점에서 비전 제시해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위해 스마트공장 추진단 등과 스마트팩토리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스마트팩토리 보급수는 늘어났지만 스마트 수준 자체는 낮다는 점과 공급 산업의 발전이 미진하다는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은 자발적으로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해야 하며 정부는 단순히 스마트팩토리의 보급이 아닌 스마트한 제조환경의 조성을 위해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주요 제조 강국들이 스마트팩토리에 주목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이 제조업에 결합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제조 강국들은 제조업 스마트화를 통해 유연생산(다품종 소량생산)과 효율생산을 추구하고 있다.

노동집약적 산업과 대규모 생산방식은 중국, 베트남 등의 개도국에게 주도권이 넘어간 상황으로 제조 강국의 스마트팩토리 추진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 됐다. 이에 세계적으로 스마트팩토리는 확산되는 추세로 세계 스마트팩토리를 선도하는 독일의 경우 자국 기업의 76%가 스마트공정 도입을 계획하거나 추진 중에 있다. 

산업용로봇, 센서, 소프트웨어 등 스마트팩토리 관련 시장은 연 평균 약 6.8%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2018년 시장 규모는 2,768억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제조업 스마트화가 미진한 실정으로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관련 산업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독일과 미국 기업들이 세계 스마트팩토리 기기 및 소프트웨어 시장을 점하고 있으나, 한국 기업은 두각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기업 대비 국내 스마트팩토리 관련 기술은 다소 뒤쳐지는 상황으로 생산설비와 네트워크 기술은 글로벌 기업에 준하는 수준이나 IoT 기반 기술인 센서와 RFID 등에서 기술력이 크게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반 소프트웨어 기술 역시 글로벌 기업과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정부 차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제조업 스마트화에는 여러 한계에 직면해 있다. 스마트팩토리 확산 사업에 힘입어 스마트팩토리 적용 업체 수는 크게 증가했으나 대부분의 스마트화는 기초수준에 불과하다는 것.

(FA저널 SMART FACTORY 10월8일 내용 일부)

소견)독일, 미국, 일본 모두 스마트팩토리 자체에 집중하기보다는 제조업 전반의 수준을 높이는 데에 초점을 두고 마트팩토리 보급 확산보다는 제조 스마트화에 집중해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8. 11. 6. 00:30

*파나소닉, IoT 활용해 생산설비 제어 시스템 개발


파나소닉이 공장자동화(FA) 사업의 일환으로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해 멀리 떨어진 공장의 생산 시설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새로운 시스템은 각 공장의 생산설비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가동 

상황을 PC나 스마트폰으로 항상 감시할 수 있다. 설비 시동 및 속도

 조절, 정지 등의 제어도 가능하다. 공장자동화 분야에서 원격 감시 

기능은 확대되고 있으나 원격 제어 기술은 매우 드문 일이다.

(후와이어드 4월 11일자)

소견)파나소닉은 앞으로 3년 동안 국내외 정보 시스템 회사와 기기 

업체 등 약 100개사와 제휴, IoT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서 기대가 큽니다.








by 이남은 2016. 4. 20. 00:30

*삼성, 전기·자율주행車 사업 가속 페달 밟나


삼성 안팎에서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에 삼성이 본격 진출하면

 상당한 경쟁력을 낼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실제로 삼성전자

 지난해 12월 자동차 전장(電裝·전자장비)사업팀을 신설하고 옛 삼성

자동차에서 근무한 박종환 부사장을 팀장으로 임명했다. 

삼성 관계자는 "전장사업의 특성상 센서와 같은 첨단 반도체 부품 역량이

 중요한 만큼 DS부문을 총괄하는 권오현 부회장 직속으로 신설했다"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와 자율주행 시장을 중점 공략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2월 4일 내용 일부)

소견)삼성전자가 전장사업을 제대로 하려면 자동차 산업에서 시장을 키우고 

판도를 바꾸는 역활을 할찌 귀추가 주목됩니다.








by 이남은 2016. 2. 13. 00:30

*삼성전자, 드론 사업 본격 착수… 부사장급 TF 가동


삼성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무선사업부는 지난해 연말 드론 사업 

진출을 위해 태스크포스(TF) 조직을 구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TF장은 

부사장급이 맡았다. TF 구성원은 15명 안팎이다. TF는 드론 시장·규제·

기술·적용 영역을 집중적으로 조사 중이다. 모터 제어, 센서, 기기 간 

통신 기술을 가진 일부 글로벌 기업과도 부품·기술 공급을 협의했다. 

현재까지 확정된 안은 무선사업부가 보유한 본질적 역량인 ‘통신 기술’

로 승부를 보겠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가 부사장급으로 드론 TF를 구성했다는 것은

 관련 시장 진출을 굉장히 무게감 있게 검토하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LTE 기술이 접목된 자율비행 드론은 자율주행차와 기술 기반이 

같으므로 전장 사업 진출을 결심한 삼성 최고위층도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1월 7일 내용 일부)

소견)미국 온라인쇼핑 업체 아마존은 프라임 에어라는 이름으로 무인 

드론 배송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서 향후 귀추가 주목됩니다.








by 이남은 2016. 1. 18. 00:30

*스마트폰·웨어러블·가전·차 … ‘아틱’이 교차로


삼성전자가 사물 인터넷(IoT) 생태계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그리기 시작했다. ‘히든 카드’는 IoT 통합 플랫폼인 ‘아틱(ARTIK)’

. ‘Articulate(연계되다)’에서 따온 말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이다.아틱의 핵심은 이날 공개한 초소형 모듈 3종이다.

 IoT 플랫폼이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는

 물론 TV·생활가전·조명·자동차까지 모두 하나의 플랫폼에서 연동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기 간 호환이 가능토록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삼성의 모듈이 이 역할을 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메모리

 반도체, 통신칩, 각종 센서 등이 하나로 묶인 형태다. 쉽게 말해 누구나

 손쉽게 사물인터넷 기기를 만들고, 생활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IoT 

부품들이다.  우선 ‘아틱1’은 가로·세로 12㎜ 크기로 현존하는 가장 

작은 IoT 모듈이다.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고 소비 전력이 적어 웨어러블

 기기 등에 탑재할 수 있다. ‘아틱5’는 29×25㎜ 크기로 스마트홈, 드론,

 고사양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하다. 비디오 인코딩·디코딩, 오디오 

기능까지 갖춘 ‘아틱10’은 가장 폭넓은 쓰임새로 다양한 기기에 적용

할 수 있다. (중앙일보 5월 14일 내용 일부)

소견) ‘뜬구름 잡기’ 식의 개념으로 활용이 제한적이었던 IoT 서비스가 

이젠 ‘손에 잡히는’ 기술로 현실화했다는 평가가 나와 향후 기대가됩니다








by 이남은 2015. 5. 24. 00:30

*제조업, 혁신 동력이 되다


제조업이 왜 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려면 먼저 몇 가지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첫째, 제조업의 의의는 더 이상 대규모 고용 
창출이 아니다. 이제는 사람보다 소프트웨어가 제어하는 제조공정이
 많고, 자동화 장비와 로봇이 생산을 담당한다. 자연히 공장에 필요한 
직원 수는 크게 줄었다. 둘째, 혁신은 실리콘밸리에서 생산은 
중국에서 이뤄질 수 있다는 생각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많이 
확산 됐지만, 그런 방식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 중국에서 생산을 
하면 관련 네트워크도 중국에서 형성될 수밖에 없고, 결국 혁신의
 전부 또는 대부분은 현장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조업이 경제에 기여하려면 혁신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새로운 제품으로 태어나는 곳이 바로 제조업이기 
때문이다. 첨단 제조기술 덕분에 장소의 제약은 거의 사라졌고 로봇, 
소프트웨어, 센서는 사용언어와 상관없이 조작·작동할 수 있다. 
그런데 현실에서 첨단 제조업이 크게 성장하려면 부품공급업체, 
그리고 경험 많은 인재의 생태계가 있어야 한다.
(MIT테크놀로지리뷰  |  2014.12.15)
소견)애플도 제조업과 혁신의 연결고리를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에서 제품을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자동화 생산장비는 애플의
유이지 않겠습니까? LG이노텍 카메라 모듈 생산설비,일본 도
마찬가지 입니다









by 이남은 2014. 12. 20. 00:2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