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제조경쟁력이 강화되며 한국 제조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한·중 기술 격차는 2010년 산업 평균 2.5년에서 2014년 1.4년, 지금은 1.0년 아래로 줄었다. 특히 미래 공장을 디자인하는 스마트제조 분야는 격차가 불과 0.6년이다. 자율주행차·바이오헬스·지능형로봇 같은 신산업분야에선 혁신성장 역량이 중국에 뒤처졌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가격 경쟁에서 밀리고, 기술 격차도 줄면 제품 경쟁력이 떨어지고 수출 전선에도 이상이 생긴다. 수출 전반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무역특화지수는 한국이 0.18로, 중국의 0.12보다 높지만, 자동차·스마트폰의 중국 판매 급감에서 알 수 있듯 수출 경쟁력이 약화한 주력 산업이 늘고 있다. 
  
우린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첫째, 장기적·체계적 정책 마련이 절실하다. 인더스트리 3.0이 있지만, 이름부터 4차 산업혁명과 엇박자인 느낌이다. 중국은 5개년 경제계획 때마다 강력하고 일관된 산업 고도화 정책을 펴왔다. 그 백미는 2015년 수립한 ‘중국제조 2025’ 정책이다. 독일 ‘인더스트리 4.0’ 전략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10대 전략산업을 선정해  2025년까지 노동집약에서 기술집약, 저부가가치에서 고부가가치, 대규모 생산에서 대규모 맞춤형 생산으로 빠르게 전환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미·중 무역전쟁의 실마리가 됐지만 강력한 중국 제조경쟁력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도 됐다. 
(중앙일보 4월 15일 내용 일부)

소견)시공간의 제약 없는 디지털 시장의 확장성을 활용해 신산업 벤처 창업을 활성화하고, 제조업 공동화를 막기 위해 해외에 나간 우리나라기업의 U턴 정책도 검토해야한다. 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국이 주춤하고 있는 지금, 우리나라의 제조 강국 재도약 계기 마련이 시급하다. 



 

 

by 이남은 2019. 4. 24. 00:48

*"5년 뒤 중국 첨단산업 더 무서워진다"는 경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과 네덜란드 학술정보평가회사인 엘제비어가 공동으로 2013~2018년 첨단기술분야 논문 수와 조회 빈도 등을 분석한 결과 중국이 30개 주요 첨단기술 연구 중 23개 분야에서 미국을 앞질렀다고 한다. 중국은 나트륨이온전지, 광촉매, 핵산을 표적으로 한 암치료는 물론이고,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인 페로브스카이트, 고속처리 반도체 기술과 관련한 단원자층에서 1위에 올랐다. 미국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게놈 편집 등 7개 분야에서 1위를 했을 뿐, 다른 나라들은 단 한 분야도 1위에 오르지 못했다.

중국의 ‘논문 굴기’는 최근 5년 새 발표된 논문수가 27% 늘었고, 논문의 질 또한 미국을 추격할 만큼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된다. 국제 과학계에서는 “중국이 논문 제출을 거부하면 국제 학술지 출판사가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란 말까지 공공연히 나온다. 논문을 논문으로만 볼 수 없는 이유는, 논문이 산업화로 이어지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기반 산업’으로 불리는 바이오·신약에서는 논문과 산업이 동행하는 추세이고, 다른 첨단기술 분야도 5~20년이면 논문이 산업 경쟁력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특허출원 건수에서 미국을 제친 지 오래다. 특허협력조약(PCT)을 통해 출원한 국제특허 건수에서도 미국을 바짝 뒤쫓는 수준에 이르렀다. 더구나 4차 산업혁명으로 중국의 기술발전 속도는 더욱 빨라지는 추세다. 향후 첨단기술 분야 논문이 특허로, 특허가 산업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시작하면 5년 뒤 중국은 지금보다 훨씬 더 무서운 위치에 올라설 게 틀림없다. 인공지능(AI) 분야만 해도 미국이 중국에 위협을 느낄 지경이면 다른 나라는 말할 것도 없다.

‘중국제조 2025’로 미·중 간 갈등을 겪고 있지만 정작 타격을 가장 많이 입는 나라는 한국이다. “마지막 보루인 반도체마저 위험하다”고 할 정도로 주력산업이 줄줄이 위기로 내몰리고 있고, 자율주행차,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도 모조리 중국에 압도당하고 있다. 우리 경제를 살리려면 더 늦기 전에 차세대 산업 육성을 위한 혁신성장에 불을 붙여야 한다.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한국경제 1월 1일자)

소견)자율주행차,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도 모조리 중국에 압도당하고 있다. 우리 경제를 살리려면 더 늦기 전에 차세대 산업 육성을 위한 혁신성장에 불을 붙여야 하는데 정신차려서 더 잘 하는 길밖에 없지 않겠습니까?


by 이남은 2019. 1. 5. 00:30

*트럼프, 中 '반도체 야망' 꺾다…푸젠진화와 거래 금지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개발 야심에 대못을 박았다. 미국 정부는 미국 장비와 기술, 재료 등이 중국이 산업혁신계획인 ‘중국제조 2025’의 일환으로 집중 육성 중인 푸젠진화반도체(JHICC)에 수출되는 것을 봉쇄했다. 미국이 지식재산권 침해를 이유로 해외 기업으로의 수출을 막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제조 2025’도 직접 타격했다.

미 상무부는 29일(현지시간) 중국의 D램 제조업체인 푸젠진화반도체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푸젠진화가 수출 제한 명부에 오르면서 미국 기업들은 기술과 장비, 재료, 소프트웨어 등을 수출하려면 상무부의 특별승인을 받아야 한다.

상무부는 미국 마이크론과 특허 분쟁을 빚고 있는 푸젠진화가 국가 안보를 침해할 중대한 위험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도용한 지재권으로 싼값에 반도체를 쏟아내면 미 국방부에 반도체를 공급하는 마이크론 등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2015년부터 ‘중국제조 2025’를 통해 반도체 자급률을 2025년까지 40%(모바일 기준)로 높이기로 하고 1조위안(약 177조원)의 반도체 기금을 조성했다. 이 같은 계획에 따라 푸젠성 정부와 국유기업 등이 출자해 2016년 설립한 회사가 푸젠진화다. 56억달러를 투입해 공장을 지었고 D램 시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내년부터 양산에 나설 방침이다. 반도체 기술 없이 출범한 푸젠진화는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UMC로부터 기술을 전수받고 있다.

마이크론은 “중국 정부가 외국 기업의 권리가 보호되고 있다고 하지만 법원 판결은 이런 정책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강력히 반발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 상무부가 나서 푸젠진화에 대한 수출 금지라는 강력한 대응 조치를 취했다.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은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1위), 램리서치(2위), KLA-텐코(5위) 등 미국 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다. 특허정보회사 린드리그룹의 린드리 그웨넵은 “미국 장비회사에서 장비를 구입하지 않고 최첨단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D램 생산 목표에 큰 차질이 생겼다는 의미다.

(한국경제 10월 30일 내용 일부)

소견)미국 장비회사에서 장비를 구입하지 않고 최첨단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중국의 D램 생산 목표에 큰 차질이 생겼다는 의미입니다?


by 이남은 2018. 11. 3. 00:30

*제조업 대국 중국에서 '로봇 혁명' 진행 중


SCMP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날로 치솟는 인건비와 인구 고령화 등이 제조업 부문의 경쟁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 아래 로봇을 이용한 공장 자동화를 대대적으로 지원하고 있다.중국 경제의 핵심인 동부 연안 지역에서는 숙련공의 인건비가 연 6만 위안(약 1천만원)을 넘어설 정도로 올라 인건비 상승을 견디다 못한 제조업체들이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 생산기지를 옮기고 있다.

만약 한 제조업체가 3명의 숙련공 몫을 하는 20만 위안(약 3천300만원)짜리 로봇에 투자한다면 이 제조업체는 1년을 약간 넘는 기간에 투자비를 회수하는 것은 물론 이후 인건비 상승에 시달리지 않아도 된다.

중국 제조업의 핵심 기지인 광둥(廣東) 성 정부는 성내 제조업체의 공장 자동화를 돕기 위해 2015년부터 올해까지 9천430억 위안(약 155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동부 연안의 저장(浙江) 성도 2020년까지 성내 3만6천여 개 기업에 8천억 위안(약 131조원)을 지원해 공장 자동화를 지원할 계획이다.중국 제조업체의 로봇 사용 대수는 노동자 1만 명당 68대에 불과해 세계 최고 수준인 한국의 631대는 물론 싱가포르 488대, 독일 309대, 일본 303대 등에도 크게 뒤처진다

중국 정부는 첨단산업 육성책인 '중국제조 2025'를 기반으로 로봇 기술의 국산화도 대대적으로 지원하고 있다.현재 중국 로봇 산업의 국산화율은 30%가량에 불과한데 이를 2020년까지 50%, 2025년까지 70%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중국 내 로봇 관련 제조업체는 수천 곳에 달하지만, 핵심 부품인 서보 모터, 로봇 컨트롤러, 감속기 등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업체는 약 100곳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된다.중국 로봇 산업의 국산화에는 2016년 독일 최고의 로봇 제조업체 쿠카를 인수한 메이디(美的)와 자텐(Jaten) 등이 앞장서고 있다.

또한, 로봇 생산의 중심지로는 중국 정부가 산업지구를 조성해 이들 업체를 대대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광둥 성 포산(佛山)이 부상하고 있다.

중국 광둥 성 로봇공학협회의 렌위퉁 회장은 "중국은 '세계의 공장'이지만, 아직도 노동집약적 생산방식을 유지하는 수백만 개의 제조업체가 있다"며 "중국이 세계 최대의 수출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치솟는 인건비와 인구 고령화 등에 대응해 로봇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9월 18일자)

소견)인건비 상승 인한 '제조업 공동화' 우려해 공장 자동화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중국제조 2025' 기반으로 로봇 국산화에도 대대적 투자하고있다. 우리나라도 정신바짝차려 한발앞서 로봇국산화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8. 9. 25.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