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청업체가 하청기업보다 이익률이 높은 것을 원청업체가 하청업체를 착취하는 증거라고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원청업체와 하청업체의 이익률이 같아야 한다는 가정을 깔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또 그래야만 정의로운 사회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이익률이 높으니 경쟁하는 운동장이 기울어진 것이고, 정부에서는 이를 평평하게 해줘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수익성 제고를 위해 협력업체들이 가야 할 길은 분명합니다. 실력을 키우고 경쟁력을 높이는 것입니다. 품질을 높이고 원가를 낮추고 혁신을 하는 것입니다. 지속적 경쟁우위가 될만한 자원과 핵심 역량을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경쟁자가 줄어들지요. 원청업체에게도 큰 소리를 칠 수 있습니다.

협력업체가 하나의 원청업체에만 의존해서는 높은 수익을 내기가 어렵습니다. 포터가 말한 구매자에 대한 협상력을 높이려면 고객 다변화를 해야 합니다. 국내 원청업체뿐만 아니라 글로벌 대기업도 고객으로 삼아야 합니다. 구매자들을 경쟁시킬 수 있는 입장이 되어야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우리나라 원청업체들이 전속 거래를 원하지 않습니다. 원청업체들의 성장률이 둔화되면서 협력업체의 성장을 책임질 수 없고, 해외 공장 현지에서 부품을 생산해서 공급해 줄 수 있는 현지 업체를 발굴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각자 도생하는 길을 걷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협력업체도 최선을 다해 고객 다변화를 해야 합니다. 에스엘이라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부품회사도 국내 완성차 업체에만 공급하다가 전 세계 완성차 업체들에게 납품하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높은 영업이익률을 향유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처럼 경쟁력을 높여 전 세계 원청업체 납품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고객 다변화를 하기가 어렵다면 제품이나 서비스 다원화를 해야 합니다. 하나의 제품이나 서비스만 생산하고 하나의 원청업체에만 공급해서는 생존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원청업체에서 사주지 않겠다고 하면 회사가 망하지요. 원청업체의 변덕에 의해 생사가 달려있어서는 생존도 어렵고 높은 수익을 내기도 어렵습니다. 한국콜마나 코스맥스처럼 실력도 좋고, 제품의 종류도 많고, 고객도 많으면 상당히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습니다.

협력업체에게 가장 좋은 것은 자기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것입니다. Ingredient Strategy라고 하는 것입니다. 협력업체가 공급하는 부품은 완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자체 브랜드를 키우기가 어렵습니다. 소비자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경쟁력이 아주 탁월한 기업들은 자체 브랜드를 만들어내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회사가 인텔입니다. 컴퓨터 안에 들어가는 CPU는 소비자의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인텔은 Intel Inside를 붙이도록 해서 인텔의 브랜드를 알렸습니다. 비슷한 것으로 프라이팬에 잘 들러붙지 않도록 코딩하는 소재인 테플론(Teflon), 신발이나 옷의 방수를 도와주는 고어텍스(Gore-Tex), 인공감미료인 뉴트라스위트(NutraSweet) 등이 있습니다. 일본의 자전거 변속기 회사인 시미즈도 이런 전략을 바탕으로 성장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협력업체들 중에서도 이런 전략을 취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기업이 많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이경묵 블러그 5월 13일 내용 일부)

소견)수익성 제고를 위해 협력업체들이 가야 할 길은 분명하며 실력을 키우고 경쟁력을 높이는 것입니다. 품질을 높이고 원가를 낮추고 혁신을 하는 것입니다. 구매자에 대한 협상력을 높이려면 고객 다변화를 해야 하며 국내 원청업체뿐만 아니라 글로벌 대기업도 고객으로 삼아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9. 5. 21. 00:47

*지능형 로봇 기술개발로 국내 로봇 산업 키운다

산업용 로봇의 스마트화와 지능화가 지속적으로 발전됨에 따라 국내도 글로벌 트렌드에 대응한 로봇의 핵심기술 확보와 부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개발 및 상용화 역량 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204억달러로 전체 비중의 17.6%를 차지하고 있는 제조용 로봇과 5.9%를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용 로봇의 동반성장에 힘입어 전년대비 13.2% 증가했다. 제조용 로봇은 중국시장의 지속적인 성장과 전기·전자, 식음료 산업 수요 증가가 시장성장을 견인했으며 서비스용 로봇은 의료, 물류, 가정용 로봇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도 마찬가지로 전문서비스용 로봇 및 부품 생산이 대폭 성장해 2016년 국내 로봇 시장은 전년대비 12.9% 성장한 4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제조용 로봇은 2조7,000억원 규모로 전년대비 9.1% 증가했으며 서비스용 로봇은 7,074억원 규모로 전년대비 21.2% 증가했다. 

국내 로봇 산업은 로봇 기업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나 전문화와 대형화되고 있는 글로벌 경쟁체체에 대응 가능한 규모있는 기업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업간 인수합병 및 자회사 설립, 사업 확장 그리고 신구진입 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 세계 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활약이 기대된다. 

LG전자는 지난해 웨어러블 로봇 스타트업 기업인 SG로보틱스를 시작으로 교육용 로봇, 부품 기업인 로보티즈, 그리고 제조용 로봇기업인 로보스타 등 로봇기업에 대한 투자와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5년간 로봇OS, 클라우드 플랫폼, 로봇비전, 딥러닝 등 로봇관련 분야와 무인자동차 등 미래성장 분야에 1,000억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며 2017년에는 3차원 지도 제작 로봇 M1을 공개하고 현대로보틱스와 자율주행 로봇 관련 MOU를 올해 5월 체결했다. 

(인더스트리뉴스 10월 29일 내용 일부)
소견)로봇산업은 정부의 지원정책도 좋지만 기업이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내수 시장에서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실행계획은 이 같은 내용도 포함하고 있지만 대기업 중심보다 중소기업 중심의 지능형 로봇 산업 키워 나가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8. 11. 13. 00:30

*한·중 FTA 활용한 경쟁력 향상… 기회 잡아야 위기 넘는다


자동차 업계는 보릿고개를 넘어야 할 운명이다. 내수 부진과 신흥국 

경기 침체, 엔화 약세 등으로 올해 자동차 생산량은 450만대로 전년

보다 0.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기아차는 올해 중국과 멕시코 공장이 문을 열어 최대 90만대를

 추가 생산할 여력이 생기지만 수요 부족으로 30만대 정도만 생산할

 것으로 전해졌다. 효율성이 높은 해외 생산 물량을 늘리고 국내 

생산을 줄일 가능성도 있다.

(서울신문 1월 5일 내용 일부)

소견)내연기관 중심에서 커넥티드카, 자율주행, 친환경차 등 신기술 

자동차 시장에 선개발에 앞장서야 합니다








by 이남은 2016. 1. 14. 00:30

*삼성, 퀀텀닷필름 보다 ‘색보정필름’에 무게 더 둬...원가 절감 효과 초점


QD필름 역시 자체 개발로 품질과 수급관리 등에서 높은 경쟁력을 

확보했지만 여전히 생산 단가가 높다. 특히 크기가 커질수록 생산단가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 원가부담이 크다.

색보정필름은 삼성이 국내 필름전문 업체 SKC하스와 공동 개발했다. 

무기물질을 적용한 QD필름과 달리 유기 소재를 적용해 QD필름에 비해

 성능은 비슷하면서도 원가는 절반 이상 줄였다.

QD 소재는 수분과 산소에 취약해 이를 차단하기 위한 배리어(Barrier) 

코팅 작업이 필요하다. 또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명암비를 보완하기 위해 

백라이트유닛에 발광다이오드(LED)를 추가하거나 색보정 필터 등 여러

부품을 추가 사용하는 등 부가적인 비용이 더 든다. 하지만 삼성이 개발한

 색보정필름은 유기소재를 적용한 만큼 별도 보호막이 필요 없어 공정 

과정이 단순해 제조단가도 저렴하다.

(전자신문 9월 30일 내용 일부)

소견)색보정필름은 QD필름에 비해 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원가는 절반 

이상을  줄일 수 있어 경쟁력 향상으로 수출확대도 기대해봅니다.








by 이남은 2015. 10. 10. 00:30

*독일과 손잡은 중국 혁신, 한국기업을 시장에서 내몰다


중국의 ‘탈(脫)아시아’ 움직임이 엿보인다. 지난 30여 년 중국의 산업 협력 

파트너는 일본·한국·대만 등 동아시아 국가였다. 이들 나라에서 생산된 

부품을 중국에서 조립해 미국·유럽에 파는 분업 구조다. 그러나 기술 수준이

 높아진 중국 기업이 부품을 국내에서 조달하면서 이 구조는 깨지고 있는 

중이다. 생산 대국 중국과 기술 강국 독일이 손을 잡는다면 이 추세는 더 

가속화될 게 분명하다. 중국과 주변 아시아 기업은 협력·분업이 아닌 경쟁 

대상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경쟁에서 뒤진 기업은 시장에서 보따리를 

싸야 한다. 우리 기업과 직결된 문제다. 산둥(山東)성 옌타이(煙臺)에 

공장을 두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는 2010년까지만 해도 중국 굴착기 시장의

 약 15%를 차지하는 최강자였다. 그해에 2만 대 이상을 팔았다. 

그러나 현재 시장 점유율은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로컬(중국) 기업의 

약진 때문이다. 특히 건설장비 분야 대표 기업인 싼이(三一)중공업에 밀렸다.

 2010년 6.6%였던 이 회사 시장 점유율은 지금 약 17%에 달했다. 역전이다.

 싼이가 기술을 들여오는 나라가 바로 독일이다. 이 회사는 2012년 독일 중

유명 중장비 회사인 푸츠마이스터 인수를 계기로 기술을 빨아들이기 시작했다.

 쾰른에 R&D센터와 교육센터도 세웠다. 두산 관계자는 “기술면에서도 싼이는

 이미 한국 제품을 따라잡았다”며 고개를 절레절레 젓는다.

(중앙일보 6월29일 내용 일부)

소견)중국 기업이 기술로 무장하면 우리 기업은 어느 나라보다도 먼저 중국 

시장에서 밀려나야 했고 가전에 이어 철강이 그랬고 화학 제품이 그렇고, 

심지어 우리가 경쟁력을 갖췄다는 자동차·스마트폰도 장담할 수 없으며 

중·독 혁신제휴가 부담스러운 이유이므로 자국기업이 더욱더 경쟁력 갖추는데

최선을 다해야합니다







13억 2천만원 까먹었다

저자
이남은 지음
출판사
42애비뉴 | 2014-08-11 출간
카테고리
자기계발
책소개
롱런 컴퍼니를 앞당겨주는 성공코드의 10가지 전략!!!!회사를 ...
가격비교




by 이남은 2015. 7. 8. 00:30

*삼화페인트의 공정 혁신 "자투리 시간도 재활용…납기 4일 줄여 연 50억 절감"


회사 측은 청소 검사 대기 등으로 생산설비가 가동되지 않아 버려지는 자투리

 시간인 ‘다운타임(downtime)’을 분석했다. 허성 삼화페인트 사장(사진)은 

“국내 페인트업계 최초로 설비가동률, 공정직행률 등 다운타임 관련 지표를 

제대로 들여다봤다”며 “제조업의 설비 분야에서 그동안 소홀히 여겨졌던 

자투리 시간까지 신경쓰는 ‘발상의 전환’을 한 셈”이라고 밝혔다.

모든 작업 활동을 10분 단위로 쪼개서 다시 설계했다.

시스템을 재정비해 올초부터 공정에 적용했다. 예전엔 하루 한 시간 반에 달했던

 다운타임이 올 들어서는 30분으로 줄었다. 자투리 시간이 감소하자 각종 변화가

 나타났다. 가장 큰 성과는 납기 기간 단축이었다. 주문을 받아 생산에서 

납품까지 보통 6.24일이 걸리던 납기일은 2.59일로 감소했다. 지난 4월엔 1.9일

까지 떨어졌다. 생산성이 20% 향상돼 연간 50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회사 측은 전망했다.근로자들의 잔업시간도 줄었다. 지난해 월평균 61.8시간을

 더 일했던 공장 근로자들은 이제 월평균 18시간만 더 일하면 된다.

(한경닷컴 6월21일 내용 일부)

소견) 다운타임 관리를 강판용 페인트(PCM도료) 공정 등 전 부문으로 확대해 기업 

경쟁력을 높인다고 하니 향후 기대가 됩니다







13억 2천만원 까먹었다

저자
이남은 지음
출판사
42애비뉴 | 2014-08-11 출간
카테고리
자기계발
책소개
롱런 컴퍼니를 앞당겨주는 성공코드의 10가지 전략!!!!회사를 ...
가격비교




by 이남은 2015. 7. 1. 00:3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