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드위치 한국경제 `뼈를 깎는 혁신`에 답 있다


결론적으로 제조업을 혁신하지 않으면 국가 경제 성장도 불가능

하다는 결론이다. 2010년 이후 우리나라의 국민총생산(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30% 이상을 유지 중이고, 이는 

독일보다 높다. 우리 정부도 이 같은 세계 주요 국가의 흐름에 

맞춰 '제조업 혁신 3.0' 전략을 내놨다. 융·복합 확산과 3D프린팅

·스마트공장 등 저비용·다품종·유연 생산방식 확산, 동북아 연구

개발(R&D) 허브 도약 등이 주요 핵심 내용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우리의 정책은 체계적인 비전과 실행전략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제조업 혁신 정책의

 현황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제조업 혁신 목적의 세제 지원 

확충과 사업 활동과 관련한 불필요한 규제 최소화, 차세대 '한국형 

제조 비즈니스 모델' 연계 과제를 개발해 기술 수요를 해소할 수 있

는 산·학·연 공동협력 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이미 중국 등에 밀린 조선과 건설·플랜트, 철강, 석유화학의 경우 

자발적 구조조정으로 한국 업체끼리 출혈경쟁을 막고, 자동차와 ICT

(정보통신기술) 부문에서는 시장선도·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적극적인 R&D 투자로 원천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는 과제도 주어졌다.

(디지털타임지 3월 1일 내용 일부)

소견)많은 경우 조직 구성원들은 위기의 원인을 '경기 침체 및

시장 환경' 등 외부로 돌리는 경향이 있어서는 절대 안됩니다







by 이남은 2016. 3. 12. 00:30

*한국 경제의 아킬레스건


고령화와 생산가능인구 감소 역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최근

 추세라면 2018년 고령사회, 2026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평균 연령이 81세를 넘어섰다. 2017년부터는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

로 돌아선다고 한다. 특히 우려되는 대목은 25~49세의 핵심생산인구 

비중이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베이비부머 등 신중년층의 고용을 활성화하는 노력이 배가돼야 한다.

 ‘인생 이모작’을 뒷받침할 체계적 직업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적

기업 등 고령 친화적 일자리 발굴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장년 고용 확대를 위해서는 임금피크제 도입이 선결요건이다. 

일본이 이를 통해 정년연장의 충격을 흡수하고 있음은 타산지석이 

아닐 수 없다.

낮은 노동생산성은 또 하나의 아킬레스건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노동생산성 저하가 심각하다. 현대경제연구원에 의하면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001~2007년 연평균 4.6%에서 2008~2014년

 1.8%로 하락했다. 특히 서비스업의 낮은 생산성이 큰 문제다.

 2001~2014년 서비스업의 생산성은 제조업의 60% 수준에 머물렀다.

(헤럴드경제 11월30일 내용 일부)

소견)제조업 부문의 생산성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장시간 근로를

 지양하고 직업훈련을 통해 새로운 기술과 생산공정에 대한 적합도

 높여야 나가야합니다.








by 이남은 2015. 12. 9. 00:30

*한국 경제, 노동생산성부터 끌어올려야


한국 경제는 수출 부진 및 경기침체를 야기하는 이런 국제 경제환경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해답은 ‘수출 경쟁력의 강화’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인력 양성시스템 구축, 기업 간 통폐합을 통한 규모의

 경제 극대화, 통상전략의 재편이 절실하다. 

일본이나 유럽연합(EU) 국가들이 대규모 양적 완화에 의한 자국통화의

 가치하락을 통해 경제활성화를 꾀하려고 한다면 한국은 기술·기능 

인력의 양성을 통한 노동생산성 향상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차제에 

기술인력 양성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정비하는 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

 기술인력 양성산업을 만들어 내는 수준까지 관련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육성한 기술·기능 인력의 활동으로 각 단계의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킨다면 이는 자연스레 한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직결될 것이다.

 이런 인력 양성시스템이 원활하게 작동한다면 ‘고용절벽’에 맞닥뜨린 

청년인력을 중심으로 한 간접고용 효과를 발생시켜 청년실업 해소에도

 적잖이 기여하게 될 것이다.

(한국경제 10월 8일 내용 일부)

소견)한국 경제가 경쟁력 강화 방향을 정확히 포착하고, 정책적 노력을

집중해서 수출경쟁력 강화는 물론 새로운 성장의 계기를 마련되야합니다









by 이남은 2015. 10. 15. 00:30
| 1 |